취업 우선순위
회사의 유지 및 경제성의 이유로 구조화된 채용시스템이 필요해짐
따라서
구조화된 채용 시스템의 핵심은? 직무적합성
직무( 직분 혹은 직책을 위해 힘쓰다)
직무기술서(Job Description) - 이를 평가하기 위한 KPI(Key Performance Indicator)
면접왕 이형에서 우선 순위를 쓰자면
직무>산업> 직장 이다
직무에 70% , 다음 산업 직장에 에너지 쓰는 것이 옳다.
이는 기업의 선발 원리에 적합한 흐름이기 때문이다.
- 직무에서 뽑을 이유를, 산업과 직장에서 떨어뜨릴 이유를 도출할 수 있기때문이다(이는 책을 다 읽으면 이해 할 수 있다.)
- 즉 직무가 확실하면, 산업과 지갖의 적합도가 다소 떨어져도 선발된다.
Q. 직무 맞고, 관심 없는 산업이라면?
-상관 없다.
-이형의 의견으로는 결국 몰입할 수 있는 사람만이 성과를 내고 영향력 있는 위치에 오른다는 사실이다.
-따라서 산업에서는 특히 관심도가 중요하다.
- 이는 결국 연봉과 워라벨의 개념 역시 상대적으로 변화 한다는 뜻이다.
명심하자 취업은 최종 목표가 아니다
취업 이후 교육 평가 , 승진 심사 등 회사 생활 중에도 계속 가속된다.
기왕 이면 내가 몰입할 수 있는 환경으로 목표로 잡자.
목표를 정하고, 우선적으로 뛰어 들자.
사람이 목표를 세우면, 방향과 목표에 따라 살게된다. 목표가 없으면 되는대로 살게된다.
영상
'독후감 > 면접바이블(저작권으로 비공개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필살기(채용 프로세스 이해하기) (0) | 2020.12.27 |
|---|---|
| 면접 마인드셋 2 (0) | 2020.12.26 |
| 면접 마인드셋1 (0) | 2020.12.26 |
| 마인드셋(새마음.새생각.새전략) (0) | 2020.12.25 |
| 마인드셋(병렬전략) (0) | 2020.12.24 |